연구소장 인사
- 연구소장인사
-
안녕하세요?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이상은 교수입니다.
코비드-19 전염병으로 인하여 사회 전체가 대면 접촉을 삼가고 비대면이 일상화되어 있는 시기입니다. 코비드-19 발생 이전에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각종 학술토론의 장들 또한 정지상태이거나 최소한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회과학연구소 또한 이러한 어려운 시대적 조건 위에 서 있습니다. 하지만 코비드-19 위기 시대에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과 발전방향의 모색 작업은 지속되어야 합니다. 다만 그 방식을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사회과학연구소는 학술세미나와 사회과학논총 발간, 그리고 학술저서 발간 작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학술세미나는 가급적 비대면 방식으로 월례세미나 또는 학술대회 형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학술지인 사회과학논충은 연1회 발간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학술저서로서 숭실대 사회과학연구소 총서 발간을 추진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이상은
- 연구소장 소개
-
학력
- 1997. 9. - 2002. 8. Social Welfar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h.D.)
- 1989. 3. - 1991. 8.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문학석사)
- 1985. 3. - 1989. 2.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문학사)
주요 연구업적
- 이상은, 전세나. (2020). 한국의 주관적 위험분포와 재분배정책 지지도. 사회보장연구, 36(3), 107-134.
- 이상은, 정찬미, 김희찬(2019). 한국의 위험분포와 사회보장지지도: 실업발생가능성을 통해 본 미래소득상실 위험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 46(3), 203-227.
- 이상은 외(2019). 사회보장론: 제도의 원리와 형태. 학지사.
- 이상은·김희찬(2019). 한국인의 복지인식의 변화와 국제비교: 수평적 재분배와 수직적 재분배에 대한 지지의 계층간 차이. 비판사회정책, 62호, 213-250.
- 이상은(2018).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 사회보장연구, 34(4), 205-228.
- 이상은·정찬미(2017). 한국에서의 아동수당 도입: 이슈와 정책방향. 입법과 정책, 9(3), 409-432.
- 이상은·정찬미·조영식(2017). 한국에서의 노인소득보충급여 도입방안: 선진국의 경험과 제도도입 효과분석. 사회복지연구, 48(3), 209-232.
- 이상은·김희찬(2017). 한국의 낮은 아동빈곤과 저출산의 역설 그리고 정부 가족지출. 사회보장연구, 33(2), 113-137.
- 이상은·김희찬(2017). 종교, 복지국가, 그리고 복지인식: 세계가치관조사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54호.
- 이상은·정찬미(2016). 아동수당 도입과 조세지원체계 개편: 국가별 비교 및 대안정책의 급여수준효과 모의실험. 사회보장연구, 32(4), 125-152.
경력
- 2020. 1. – 현재. 사회보장위원회 기획전문위원회 위원장
- 2020. 3. - 2021. 2. 4차산업혁명위원회 사회보장분과 위원장
- 2017. 12. - 2018. 9. 국민연금제도발전위원회 위원
- 2017. 1. 1. - 2017. 12. 31.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조직위원장
- 2016. 7. 1. - 2017. 6. 30.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