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학술 행사

학술 행사

1. 초청 강연회

93. 10. 11 남북한 통일정책 비교(손재식, 국토통일원 장관)
92. 4. 24 한반도 통일의 방향과 정부의 정책(임동원, 통일원 차관)
92. 5. 8 동유럽에서의 민주적 변화의 과정(Mintchev, 불가리아 외교정책연구소장)
92. 11. 16 마스트리트 이후의 유럽공동체(마르크포티에)
92. 11. 23 통일과제 그리고 통일한국과제(홍순영, 주 러시아 대사)
93. 4. 28 한·러 관계의 현황과 전망(이르게바예프, 러시아 주한대사관 참사관)
93. 3. 28 유럽연합의 대외관계(Anouil, 주한 EC대사)

2. 특별 콜로키엄

92. 11. 5 주제: 통일의식 제고 및 교류방안
남·북한 통일과 민족동질성 회복문제(이영호, 국회의원)
남·북한 대외활동 공동보조(도준호, 북한부장)
남·북한 학술교류방안 모색(전득주, 숭실대)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방안(이삼열, 숭실대)
96. 6. 7 주 제: 통일문제 관련 학생발표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환경보호 협력방안(노장용, 경제 4)
독일·베트남 예멘외 사례를 통해서 본 남북통일의 기본구상(김병석, 독문과 4)
주변 4국가 한반도 통일(강혜은, 독문과 4)
96. 6. 10 세계 각 지역 연구의 현황과 과제-원탁토론
2021. 08. 19 주제: 한국사회의 진단과 방향
한국 노동시장 및 고용관계 진단과 정책방향(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최근 소득·자산 불평등 현황과 향후 연구과제(이성균, 울산대 사회복지학과)
백래시 시대의 젠더정치와 젠더담론(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한국사회의 다중균열과 세대문제(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조세정책의 현황과 과제(전병목,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탈진실 시대의 마음의 습관(최준영,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2022. 03. 25 주제: 대전환기 한국사회: 변화와 대응
디지털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혁신전략(이준배,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시대의 사회복지 패러다임: 한국사회의 특성과 대안(김수영,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탈세계와와 디지털화 그리고 국제질서의 변화: 한국사회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이상환, 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
기후위기와 대응방안(고문현, 숭실대 법학과)
인구고령화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방향(이삼식, 한양대 정책학과)
인구감소 시대 한국의 이민정책 방향(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탐색(이기성,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대전환기 한국의 복지전략(이상은, 숭실대 사회복지학부)

3. 교수 세미나

92. 11. 21 남·북한 문화교류방안(최은수)
남·북한 언어순화방안(최태영)
남·북한 이산가족 교류방안(김영종)
남·북한 협력확대방안(이윤식)
남·북한 경제협력추진방안(박유영)
93. 6. 1. 북한의 사회의 구조적 변화(김병로)
북한의 교육정책의 변화(최은수)
북한권력의 변화(정규섭)
북한 이데올로기 변화(김창호)
96. 11. 22 북한체제의 전환기적 상황과 대북인식(김경웅)
남북한 통일정책 비교(양성철, 국회의원)
통일문제의 재인식과 민주시민교육(전득주)
98. 6. 12 통일을 위한 안보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전정환)
통일을 위한 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김광수)
98. 12. 11 통일을 위한 정치발전의 패러다임 모색(이종석)
통일을 위한 사회정책의 패러다임 모색(김형석)
99. 10. 26 주제: 21세기 사회과학의 비전: 현황과 과제
산업사회학에서 정보사회학으로(강대기)
정치학, 제자리 찾기(서병훈)
일본학의 현황과 과제(신장철)
행정학에 대한 몇 가지 생각들(오철호)
사회복지학의 당면과제와 교육 및 연구동향(유태균)
18. 12. 12 The Diffusion of ISO 14001 in a Developmental state : The Case Of Korea(백경민)
지방자치단체 광역행정체제의 분석 및 대안탐색- 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강인성)
연구윤리 교육(김경휘)

4. 국제 세미나

93. 5. 20 주제: 유럽의 정치적 통합과 영·불·독의 입장
유럽의 정치적 통합과 프랑스의 입장 (장 클로드 고르통, 보르도大 유럽공동체연구협의회 회장)
유럽의 정치적 통합과 독일의 정책 (가브리엘레 브렌케, 독일 대외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유럽의 정치적 통합과 영국의 정책 (월리엄 패터슨, 에든버러大 현대유럽연구협의회 회장)
93. 10. 16 주 제: 통일한국과 동북아의 새 질서 통일한국과 새로운 한·미 관계(Dan Sanford, Whitorth College)
통일한국과 새로운 동북아 국제질서의 전망 (史敏, 중국 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부소장)
통일한국과 동북아 경제 협력: 새로운 협력관계의 부상 (Pavel A. Minakir, 러시아 하바로스크 경제연구소 소장)
통일한국의 경제적 전망(안석교, 한양대)
95. 10. 28 주 제: 시민·정당 그리고 국가 미국의 시민, 정당, 국가(David Conrah3, East Carolina대)
독일의 시민, 정당, 국가(Gottfried K. Kindermann, Munich대)
일본의 시민, 정당, 국가(Tsujinaka Yutaka, Tsukuba대)
태국의 시민, 정당, 국가 (Chai Anan Samudavanija, Chaiyong Limthongkul 재단 이사장)
한국의 정당과 국가(윤근식, 성균관대 부총장)
한국의 이익집단과 시민사회(김영래, 아주대)
17. 06. 02~04 The 5th Seminar of Academic Exchange Program for Graduate Students between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Soongsil University?
17. 10. 31 The 1st EAST ASIAN SOCIAL POLICY & SOCIAL DEVELOPMENT FORUM
18. 05. 31~06.04 The 5th Seminar of Academic Exchange Program for Graduate Students between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Soongsil University
18. 10. 14 The 2nd EAST ASIAN SOCIAL POLICY & SOCIAL DEVELOPMENT FORUM
19. 05. 31~06.02 The 6th Seminar of Academic Exchange Program for GraduateStudents between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Soongsil University

5. 정기 세미나

84. 5 소련의 평화공존 정책의 허실과 통일문제(문수언)
85. 11 남북한 관계의 최근동향(김영종)
86. 10 북한의 통일정책과 대학생의 사상교육(강인덕)
87. 10. 29 주제: 분단국문제의 이상과 현실 남북한 경제협력 및 그 발전(김광수)
ROC and PRC(Yun-Peng Chu)
89. 9. 20 남북한 사회체계의 비교(유인종: 고려대)
90. 9. 14 대외정책과 관련된 소련의 국내 정치 상황(George F. Kunadge)
91. 5. 29 분단극복을 위한 남북한 상황분석과 통일국가모형 제시(정연춘, 학진 이사장)
92. 10. 16 주제: 남·북한 관계의 발전과 전망 경제관계 발전의 목표와 과제(안석교)
군사관계 개선과 평화체제(오관치)
93. 10. 28 세계의 민주화 추세와 남·북 관계(Huwe, Takizawa, 전득주)
95. 10. 5 주 제: 남·북한 학술교류의 가능성과 한계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척보량, 중국 현대국제문제연구소)
중국에서 본 남·북한 학술교류 가능성과 한계(최응구, 북경대)
일본의 대 한반도 정책(기미야 타다시, 법정대)
일본에서 본 남·북한 학술교류의 가능성과 한계(타키자와 하데키, 갑남대)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길영환, 아이오와대)
미국에서 본 남·북한 학술교류의 가능성과 한계(차만재, 캘리포니아대
남·북관계의 문제와 전망(조영환, 서강대)
한국에서 본 남·북한 학술교류의 가능성과 한계(신윤표, 한남대)
96. 11. 29 주 제: 최근의 북한정세와 우리의 대응
최근의 북한정세와 미국의 입장(James Whitlock)
최근의 북한정세와 한국의 입장(김학준, 인하대 총장)
최근의 북한정세와 한국의 입장(김태희)
97. 9. 26 주 제: 통일한국의 사회·정치적 기반 조성,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학교 교육(최은수)
언론과 시민교육(임승빈)
사회적 갈등구조의 민주적 해결을 통한 통일기반 조성 방안(김영종)
사회정책적 측면에서 남북한 삶의 질 비교 분석(김형식)
분권형 통일국가 모델의 탐색: 연방주의의 논리(성경륭)
한반도 통일의 국제정치학과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김태형)
97. 10. 18 주 제: 고당 조만식 선생 사상의 재조명
인간으로서의 조만식(유영렬)
정치인으로서의 조만식(정연선)
교육 사상가로서의 조만식(김기순)
기독교 신앙인으로서의 고당 조만식(이만열)
경제인으로서의 조만식(김영호)
98. 4. 15 최근 일본 경제의 침체와 일본형 경제시스템의 문제(강두용)
98. 5. 13 현정부의 통일 정책의 한계점과 문제점(김남식)
98. 9. 16 정치개혁의 현 상황과 전망(손학교)
98. 9. 24 남북 교류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남북 경제 교류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최신림)
남북 문화 교류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김병로)
98. 10. 14 보건복지정책의 과제와 전망(최선정, 보건복지부 차관)
98. 11. 18 한국경제위기 대처 방안(이진순, KDI 원장)
99. 4. 9 현단계 노동문제: 실업과 노사관계(조우현)
99. 5. 27 주제: 통일과 통일전략으로서의 제도화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허문영)
독일 통일의 제도적 측면(황병덕)
법경제학으로 본 제도효과 및 제도화에 관한 일고(김일중)
사회적 갈등 해소와 제도화(김성배)
통일 한국의 현정제도 디자인(임혁백)
99. 11. 21 주 제: 통일과 통일전략으로서의 제도화 - 통일과 사회문화갈등
합치는 남북통일, 갈라진 통일인식(전상인, 한림대)
통일한국의 사회문화갈등: 델파이 조사결과를 중심으로(정영국, 정문연)
2000. 10. 18 개교 103주년 기념세미나 “인간과 사회-사회과학의 쟁점”
2001. 5. 31 대학생 통일문제 워크샵: 성숙한 민주사회 건설과 통일
2001. 11. 27 2001학년도 추계학술세미나: 진리의 유형과 학문의 접근 방법
2001. 12. 21 제10회 한국부패학회 국내학술대회
2002. 12. 06 FTA도래와 지역경제의 대응
2003. 12. 18 지속가능성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경기도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2004. 10. 21 팔당 상수원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대책
2007. 02. 26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정치적 구호인가 가능한 현실인가?
2008. 10. 31 주제: 한국사회의 도전과 전망
네트워크 자본주의와 비공식 정치(류상영, 연세대)
한국 공적연금의 개혁대안들에 대한 비교 평가(이상은, 숭실대)
2009. 4. 23 주제: 한국정치사회의 현실과 발전가능성
네거티브 캠페인은 유권자의 투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강원택, 숭실대)
누가 촛불을 드는가?(장덕진, 서울대)
2010. 5. 14 주제: 공간환경의 설계와 활용
도시 씬(scenes)과 도시재생: 서울 문래동의 사례(장원호, 시립대)
공유재의 관리와 정부실패: 곽전(미역바위) 사례를 중심으로(김성배, 숭실대)
2014. 12. 15 주제: 민족주의와 역사: 사회과학과 역사학의 대화
2015. 6. 19 주제: 유럽연합과 한국의정치경제
2016.12.23. 주제: 공공성과관리 세미나
2021.04.14. 주제: 질병재난과 정부지지, 그리고 한국정치: 박근혜 정부의 메르스와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비교(조영호 교수,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2021.05.12. 주제: 정신질환 범죄자의 재범 예방방안: 미국의 대안적인 사법행정 시스템을 중심으로(한우재 교수, 숭실대 사회복지학부)
2022.05.25. 주제: 분열사회와 신뢰의 미래(김희삼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GIST)
2022.06.28. 주제: (1) TheLuxury of Family: Diverging Family Behaviors in South Korea (박현준 교수, University of Pennsylvania)
(2) Redefin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김민정 교수(San Diego State University)
2022.11.23. 주제: Look up rather than down: Karl Polanyi’s fascism and radical right-wing ‘populism’(임상헌 교수, 경희대 공공대학원)